Programming Language13 파이썬 - (반복문 中 while 문) 프로그래밍을 할 때 제어문만큼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로 반복문이다. 반복문에는 while 문과 for 문 두 가지가 있는데 while 문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다. 요즘 미국 연준의 금리가 계속 인상하고 있는 와중에 "물가 상승률이 2%에 도달할 때까지 금리를 올린다." 라는 예시의 코드를 만들어보고 while 문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자. 코드를 살펴보면, "인플레이션 수치가 2%보다 높은 동안(while)에 기준 금리를 2%씩 인상하면 인플레이션 수치가 1.5% 감소한다. 그리고 인플레이션 수치가 2% 이하가 된다면 금리 인상을 중단한다." 라는 의미이다. 인상 횟수 4번까지는 인플레이션 수치가 2%보다 높다는 조건문에 부합하기 때문에 while 문을 수행하고 5번 인상하는 시점에서 인플레이션 수치가 .. 2023. 7. 9. 파이썬 - (if 제어문) if 문이 왜 필요한지는 일상 생활을 하면서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계란을 삶는데 10분이 지나면, 가스불을 꺼야겠다." 라든지 "우유를 사는데 A회사의 제품이 B회사의 제품보다 할인이 더 된다면, A회사 우유를 사야겠다." 등 주어진 조건을 판단한 후 그 상황에 맞게 일을 처리해야 하는 것은 익숙하고도 당연하다. 프로그래밍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예시를 이용해서 파이썬에서는 조건문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간단히 보고 넘어가겠다. if 문 다음의 변수가 True여야 실행되고, 그게 아니면 else 문 다음 문장들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if 문을 쓸 때는 주의사항이 있는데, 바로 들여쓰기를 해야 파이썬이 이해한다는 것이다. 위의 print 문들이 모두 들여쓰기 처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행할 .. 2023. 7. 8. 파이썬 - (자료형 中 집합 ~ 변수) 집합 자료형은 우리가 중학교, 고등학교 때 배웠던 그런 집합들을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집합 자료형은 set 키워드를 사용해서 s1 = set([1, 2, 3]) 과 같이 만들 수 있다. 괄호 안에는 리스트나 문자열도 입력 가능하다. 여기서 집합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코드 하나를 제시하겠다. 'l' 하나가 빠져 있고 순서도 뒤죽박죽인 것처럼 보여진다. 바로 집합 자료형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집합 자료형은 인덱싱을 통해 요솟값을 얻을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인덱싱처럼 접근하려면 리스트나 튜플로 변환 후에 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 때문에 나중에 프로그램을 만들다가 중복되는 요소들을 제거하고 싶을 때 집합 자료형을 사용한다. 다음은 굉장히 복잡하게 구현해야 하는 .. 2023. 7. 6. 파이썬 - (자료형 中 리스트 ~ 딕셔너리) 그동안은 '박스 하나' 가져와서 하나씩만 넣었는데, 자료가 많을 때 '서랍장'을 가져와서 여러 개를 담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리스트"라는 자료형이 바로 그 대안이다. 리스트의 사용법은 굉장히 단순하다. 리스트명 = [ 요소1, 요소2, 요소3, ....] 과 같이 요솟값들을 대괄호([])로 감싸주면 그만이다. 리스트 안에는 아무것도 없는 비어 있는 리스트든 문자 하나든 문자열 여러 개든 그 어떠한 자료형도 모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리스트도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래 예시 코드를 보면 바로 이해가 갈 것이다. ※삼중 리스트도 인덱싱할 수 있지만 리스트를 그런 식으로 다중 중첩해서 사용하면 혼란이 가중되므로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다. 슬라이싱.. 2023. 7. 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