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지코딩21 데이터 그룹화 우리가 데이터를 검색할 때 카테고리 별로 일목요연하게 보고 싶다면 데이터를 그룹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 방법이 바로 GROUP BY 문을 사용하는 것이다. 만일 Sector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써보자... select sector from nasdaq_company group by sector 왼쪽과 같이 섹터에는 어떠한 데이터들이 있는지 중복을 제외한 결과를 한눈에 알 수 있다. 이렇게 그룹화할 데이터를 group by 문 다음에 입력해 주면 된다. 그리고 group by 문에 사용한 열을 반드시 select 문에도 사용해야 오류가 나지 않는다는 점도 잊지 말자. select sector, industry from nasdaq_company group by sector, .. 2023. 8. 6. ORDER BY 문 & 와일드 카드 직전 글의 SELECT문의 기본형식에서 마지막 부분에 ORDER BY 문이 있었다. 이 구문은 데이터를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 가장 마지막에 입력한다. 데이터를 1개 열 기준으로 정렬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ex) symbol 기준으로 정렬 select * from nasdaq_company order by symbol 2개의 열을 기준으로 정렬하고 싶다면 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해 주면 된다. --ex) sector가 null이나 공백이 아닌 경우, sector열 기준으로 정렬 후 industry열로 정렬 select * from nasdaq_company where sector IS NOT NULL and sector '' order by sector, industry 정렬 시 오름차.. 2023. 8. 1. SELECT문 & WHERE문 데이터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데이터는 쉽게 말해 '자료'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 '자료'를 왕창 모아놓은 것이 '데이터베이스(DB)'이고 그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친구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라는 친구이다. 데이터베이스를 배우는 목적은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얻어내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우리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 소통할 언어가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SQL'이다. 이 SQL을 다루는 것에 능숙해질수록 다양한 곳에 다양한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를 직접 추출, 조회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 SQL Server 사용, 'Do it! SQL입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습니다. 이제 바로 SQL.. 2023. 8. 1. 자바 - (숫자 자료형) 앞서 말했듯이 자료형은 주머니에 담길 데이터의 종류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자료형은 도대체 왜 있어야 할까? 각각의 자료형은 각기 다른 크기를 갖는다. 쉽게 말해 세탁기를 포장해야 하는데 노트북 정도의 박스를 가져오면 안되는 것처럼 자료형은 각각의 범주에 포함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가장 효율적으로 저장해서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지금부터 그 여러 종류의 박스들 중에서 숫자 박스(숫자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다. 숫자에도 정수, 실수, 8진수, 16진수와 같이 여러 종류가 있다. 먼저 자바에서 정수를 표현하려면 정수 앞에 byte, short, int, long 자료형을 붙여주면 된다. 오른쪽으로 갈수록 더 큰 박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각각 1바이트, 2바이트, 4바이트, 8바이트 크기의.. 2023. 7. 26.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