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Language/Python11

파이썬 - (자료형 中 집합 ~ 변수) 집합 자료형은 우리가 중학교, 고등학교 때 배웠던 그런 집합들을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집합 자료형은 set 키워드를 사용해서 s1 = set([1, 2, 3]) 과 같이 만들 수 있다. 괄호 안에는 리스트나 문자열도 입력 가능하다. 여기서 집합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코드 하나를 제시하겠다. 'l' 하나가 빠져 있고 순서도 뒤죽박죽인 것처럼 보여진다. 바로 집합 자료형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집합 자료형은 인덱싱을 통해 요솟값을 얻을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인덱싱처럼 접근하려면 리스트나 튜플로 변환 후에 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 때문에 나중에 프로그램을 만들다가 중복되는 요소들을 제거하고 싶을 때 집합 자료형을 사용한다. 다음은 굉장히 복잡하게 구현해야 하는 .. 2023. 7. 6.
파이썬 - (자료형 中 리스트 ~ 딕셔너리) 그동안은 '박스 하나' 가져와서 하나씩만 넣었는데, 자료가 많을 때 '서랍장'을 가져와서 여러 개를 담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리스트"라는 자료형이 바로 그 대안이다. 리스트의 사용법은 굉장히 단순하다. 리스트명 = [ 요소1, 요소2, 요소3, ....] 과 같이 요솟값들을 대괄호([])로 감싸주면 그만이다. 리스트 안에는 아무것도 없는 비어 있는 리스트든 문자 하나든 문자열 여러 개든 그 어떠한 자료형도 모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리스트도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래 예시 코드를 보면 바로 이해가 갈 것이다. ※삼중 리스트도 인덱싱할 수 있지만 리스트를 그런 식으로 다중 중첩해서 사용하면 혼란이 가중되므로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다. 슬라이싱.. 2023. 7. 6.
파이썬 - (자료형 中 숫자 ~ 문자열) 숫자형에는 정수, 실수, 8진수, 16진수 등의 자료형이 있다. 정수형과 실수형을 사용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다. 정수형은 예를 들어, a = 123, a = -152, a = 0 과 같이 어떤 변수 a에 대입을 해주면 되고, 실수형은 소수점이 포함된 a = 1.4, a = -5.86 등과 같이 표현해주면 된다. 8진수와 16진수도 간단하다. 8진수는 어떤 변수 a에 대입할 값이 숫자 0과 알파벳 소문자 o나 대문자 O을 붙여주면 된다. a = 0o177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16진수는 숫자 0과 알파벳 소문자 x, a = 0x8ff 등으로 표현해주면 된다. 그리고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이라는 것도 있는데 예를 들어 a = 4.24E10 혹은 a = 4.24e10처럼 표현하면 파이썬은 4.24 x.. 2023. 7. 6.